히브리어 및 70인역 사전
전공분야 2010. 11. 28. 18:51 |초급용(학부생)

위의 이미지는 쾰러와 바움가르트너의 ‘히브리어와 아람어 사전’의 내용을 요약해서 줄여 할러데이(W. L. Holladay)가 출간한 ‘A Concis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의 한국어 번역본이다. 쾰러와 바움가르트너의 사전에 비해서 내용이 간단해서 초보자에게는 적당할 수는 있지만 아마도 창세기를 넘어가면서부터는 다른 사전이 필요할 듯 보인다. 이 사전이 필요 없어질때가 되면 쾰러와 바움가르트너 사전을 사셔야될때가 왔다는 신호입니다. 초보자에게 가장 적당한 사전이다.
중급용(대학원생)
쾰러(L. Koehler)와 바움가르트너(W. Baumgartner)의 ‘Th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이다. 2001년에 출간된 2권짜리 스터디 에디션(Study Edition)이 가지고 다니는 데나 사전으로 활용하기에 좋다. 영미권 국가에서 현존하고 있는 성서 히브리어 사전가운데 가장 우수한 사전으로 평가되고 있다. 성서학 전공자들이 필수적으로 소장해야될 사전이다.

‘게제니우스 히브리어 아람어 사전(’은 문법서와 마찬가지로 대단히 오래된 사전이다. 쾰러와 바움가르트너 사전이 중급자 이상에게 가장 필요한 사전이라면 게제니우스 히브리어 아람어 사전은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있으면 가끔씩은 도움이 될 때가 있다고 할 수 있는 보충사전과도 같다고 볼 수 있겠다. 오랜시간을 들여서 한국어로 번역한 번역자와 출판사에는 미안한 이야기지만 쾰러와 바움가르트너 사전을 가지고 있다면 이 사전을 구입할 이유는 전혀 없다. 이
사전의 가장 큰 약점을 꼽는다면 게제니우스 히브리어 사전이 출간될 당시에는 고대 근동학 연구가 전혀 반영되지 않아서 게제니우스
사전에서 의미가 모호하다고 여기던 히브리어 단어들이 많았다. 그후 쾰러와 바움가르트너의 사전에서는 이러한 히브리어 단어들의
의미가 다른 셈어(Semitic Language) 연구를 통해서 밝혀지고 있다.
2003년에 LEH 사전이 출간하기 전에는 희랍어 사전인 Henry George Liddell , Robert Scott, and H. Stuart Jones의 A Greek-English Lexicon (약어: LSJ)가 오랫동안 70인역 해석과 성서학 연구에 활용되어왔다. 고대 그리스어 연구에는 가장 대표적인 사전으로 알려져있다.
고급용(박사과정)
영
국 셰필드 대학의 교수진이 중심이 되어 The Dictionary of Classical Hebrew가 출간되었다. 현재 6권이
출간된 상태이고 7권과 8권이 제작에 들어간 상태라고 한다. 이 사전의 특징은 히브리어 성서외에도 최근에 정리가 된 사해 사본의
단어가 모두 실려있다는 점에서 사해 사본을 연구하는 학자 또는 박사과정에 있는 대학원생에게 도움이 되는 사전이다. 참고로
2009년에 8권의 두꺼운 사전을 요약한 The Concise Dictionary of Classical Hebrew(오른쪽
이미지)가 출간되었다.
70인역 헬라어 사전
Johan Lust, Erik Eynikel 그리고 Katrin Hauspie 공저의 A Greek-English Lexicon of the Septuagint(약어 LEH) 이다. 2003년 독일성서공회(Deutsche Bibelgesellschaft)에서 출간하였다. 현재 70인역 헬라어 사전 가운데 대표적이다.
'전공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적 예수와 관련된 학술서적 (0) | 2010.11.28 |
---|---|
히브리어 성서 및 헬라어 성서 (0) | 2010.11.28 |
히브리어 및 70인역 사전 (0) | 2010.11.28 |
성서 히브리어 문법 (0) | 2010.11.28 |
성서학 관련 서적 (0) | 2010.11.28 |
고대 이스라엘 역사 (0) | 2010.11.28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