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동안의 최고의 추리소설 상(배리 상)
추리 소설/해외 추리 문학상 2010. 11. 7. 12:15 |2010년 배리 상(Barry Award)에서 지난 10년동안의 가장 우수한 추리소설에 대한 시상(MYSTERY/CRIME NOVEL OF THE DECADE)이 있었다. 후보작들을 살펴보면:
스티그 라르손(Stieg Larsson)의 밀레니엄 1부(THE GIRL WITH THE DRAGON TATTOO)
Ken Bruen의 THE GUARDS
마이클 코넬리(Michael Connelly)의 링컨차를 타는 변호사(THE LINCOLN LAWYER)
데니스 루헤인(Dennis Lehane)의 미스틱 리버(MYSTIC RIVER)
루이스 페니(Louise Penny)의 STILL LIFE
Carlos Ruiz Zafon의 THE SHADOW OF THE WIND
개인적으로는 위의 작품 가운데 Ken Bruen 과 Carlos Ruiz Zafon 두 작가의 작품을 제외하고 다 읽어보았다. 특히 출간되자마자 해외에서 화제가 되었던 스티그 라르손의 작품도 재미있게 읽었다. 마이클 코넬리가 수상하기를 바랬는데 아쉽게도 수상작은 스티그 라르손의 밀레니엄으로 돌아갔다. 배리 상이 추리문학 팬들의 투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티그 라르손의 인기가 많이 반영된 것 같다.
'추리 소설 > 해외 추리 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커비티 상(마카비티 상, Macavity Award) (2) | 2010.11.07 |
---|---|
배리 상(Barry Award) (4) | 2010.11.07 |
지난 10년동안의 최고의 추리소설 상(배리 상) (14) | 2010.11.07 |
에드거 상(에드가 상,Edgar Award) 수상작 (4) | 2010.11.07 |
영국추리작가협회 황금단도상(골드대거상) 수상작 (2) | 2010.11.07 |
2010년 해외 추리문학상 수상작 총정리 (4) | 2010.11.07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밀레니엄 판권 소식은 어디선가 저도 본듯한데 그럼 출판사 경영난 때문인지요? 아마 아직은 그래도 팔리고 있는 작품일 듯 한데, 아르테가 어려웠나 봅니다.
추리소설을 내주는 출판사가 경영난을 겪는다는 소식에 사실 뜨끔하네요. 더 많은 출판사가 미스터리를 출간해주어야 할텐데 반대로 문을 닫는 경우가 생긴다니 안타깝습니다.
자세한 내막은 저도 모르지만 밀레니엄의 한국어 번역본 판매가 많이 부진했다더군요. 미국에서 1000만부 이상이 팔린 책이 한국에서는 1만부정도였다니 기가막힐 노릇이지요.^^
밀레니엄 판매고가 생각외로 많이 부진했었군요. 그렇다면 아르테가 곤란을 겪을만 했네요. 1만부 팔아서야 손익분기점을 맞추기가 어렵지 않을지요. 우리나라는 아직 장르소설 독자의 저변이 그다지 넓지 않은 모양입니다.
사실 영어판에 비해서 번역이나 표지 디자인, 마케팅 모두 아르테출판사가 미흡했던건 인정해야될듯 보입니다. 웅진에서 재출간되는 번역본의 판매를 보면 정확한 이유를 알게되겠지요. 웅진마저도 실패한다면 한국의 독자들이 굉장히 까다롭다고 밖에 해석할 길이 없겠네요.^^
아, 그렇군요. 아무래도 크지 않은 출판사라 역량 부족으로 그 작품의 명성에 걸맞는 번역본을 내지는 못했나 봅니다.
사실 독자 입장에서는 작은 출판사들이 많이 난립(?)해서 경쟁을 해주는 구도가 좋은 듯 합니다만, 군소 출판사들이 너무 힘들어 하니까 그런걸 바라는 것도 사치인 것 같네요.
필론 님 말씀대로 이번에 그럼 웅진에서 새로 내놓은 밀레니엄을 지켜봐야 할 이유가 확실한 듯 합니다. 그 정도로 안 팔릴 책은 아닌데 독자들이 이번에는 가치를 알아줬으면 합니다. ^^
밀레니엄같은 걸작이 한국에서 많이 안팔린다면 저와 같은 스티그 라르손의 팬이 실망하겠지요.^^
밀레니엄이 실패한다면 다른 책들은 더 어려울 것 같아서 우려가 됩니다. 북유럽 미스터리 소설 가운데 흥행성이 높은 작품인 것 같은데요. ^^
우리나라 독자들 기호가 외국 독자와는 많이 다른 면이 있으니, 출판사 기획이나 마케팅하시는 분들도 힘드시겠습니다.
그러게 말입니다. 별로 인기가 없는 외국의 소설이(특히 일본 소설들 가운데) 한국에서 대박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 반면에 그 반대인 경우도 있으니 출판사의 입장에서 책의 기획을 하는데 고민이 많을 것 같습니다.
예. 예전에는 팝송계에서 그런 일이 많아서 가끔 한국인 취향은 독특하다는 식의 말들이 나오곤 했던 것 같은데, 요즘은 미스터리 문학에서도 그런 현상이 보이네요. ^^
몇 년 전 동서 중역본이 나올 때 환호하던 것을 생각해보면 요즘은 그래도 그때보다는 사정이 좋아진 듯 합니다만, 미국이나 유럽처럼 추리문학이 좀 더 대중화되었으면 하는 것이 애독자로서의 바람입니다. ^^
범죄 문학의 팬으로서 다른 장르의 책이 대박을 터트리는 것을 보면 안타까운 생각이 듭니다만 독자마다 취향이 달라서 그렇다고 받아들여야겠지요.^^
여러 장르의 책들이 골고루 대박을 터뜨리면 좋을텐데 말입니다. ^^ 작년에는 소설보다는 논픽션 류에서 대박이 많이 나온 것 같던데 독자들 취향이 참 까다롭네요.
마이클 코넬리도 그 정도로 판매부수가 저조하다니, 출판사에서 시리즈물을 순서대로 안 내주거나 원서의 진도를 한참 뒤에서나 따라가는 것도 어느 정도는 이해가 갑니다.
마이클 코넬리나 제임스 패터슨의 인기가 저조한것을 보면 한국 독자들이 대체로 범죄문학이나 스릴러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봐야 될것 같네요.^^
주말인데 편안한 시간 보내셨는지요? ^^
필론 님도 그러시겠지만 범죄소설을 즐겨 보는 입장에서 상당히 안타까운 일이네요. 코난이나 김전일 같은 퍼즐형 추리 만화 쪽은 인기가 있는 것 같던데, 그런 관심이 범죄소설 읽기로 이어지지는 않는가 봅니다.
그러게 말입니다. 만화의 인기만큼 범죄 소설에도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