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거서 상
추리 소설/해외 추리 문학상 2010. 11. 9. 15:49 |고전 추리 작가 애거서 크리스티의 이름을 딴 애거서 상은 애거서 크리스티와 같은 스타일(하드 보일드 소설에서 보편적으로 등장하는 요소인 섹스, 마약, 폭력이 없는)의 소설에 수여하는 추리 문학상이다.
다음은 최근 5년간의 최우수 장편소설 (Best Novel) 수상작이다.

2005년 수상작 Katherine Hall Page의 The Body in the Snowdrift

2006년 수상작 낸시 피커드의 스몰 플레인스의 성녀

2007년 수상작 Louise Penny의 A Fatal Grace

2008년 수상작 Louise Penny의 The Cruelest Month

2009년 수상작 Louise Penny의 The Brutal Telling

2009년 최우수 신인상(Best first novel)의 수상작인 앨런 브래들리(Alan Bradley)의 The Sweetness at the Bottom of the Pie이다.
루이스 페니(Louise Penny)와 앨런 브래들리(Alan Bradley)의 책을 모두 읽어본것은 아니지만 개인적인 소감으로는 지루하다. 한국에서 이들의 작품이 번역될지는 미지수이지만 하드 보일드 추리 작가인 마이클 코넬리와 비교해서 긴장감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아마도 최근의 추리 문학의 경향이 미국의 블록버스터 스릴러의 영향과 함께 다소 하드 보일드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 때문에 고전적인 후던잇의 추리 소설이 자극적인 소재에 익숙해진 현대인에게 어필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어 보인다. 물론 개인적으로 애거서 크리스티나 도로시 세이어즈를 무척 좋아하지만 고전 소설은 고전일때 그 매력이 더 하는것 같다. 그러한 이유에서 그 많은 애거서 상 수상작 가운데 한국에서 오직 낸시 피커드의 '스몰 플레인스의 성녀'만이 번역 출간된 것인지도 모른다.
다음은 최근 5년간의 최우수 장편소설 (Best Novel) 수상작이다.

2005년 수상작 Katherine Hall Page의 The Body in the Snowdrift

2006년 수상작 낸시 피커드의 스몰 플레인스의 성녀

2007년 수상작 Louise Penny의 A Fatal Grace

2008년 수상작 Louise Penny의 The Cruelest Month

2009년 수상작 Louise Penny의 The Brutal Telling

2009년 최우수 신인상(Best first novel)의 수상작인 앨런 브래들리(Alan Bradley)의 The Sweetness at the Bottom of the Pie이다.
루이스 페니(Louise Penny)와 앨런 브래들리(Alan Bradley)의 책을 모두 읽어본것은 아니지만 개인적인 소감으로는 지루하다. 한국에서 이들의 작품이 번역될지는 미지수이지만 하드 보일드 추리 작가인 마이클 코넬리와 비교해서 긴장감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아마도 최근의 추리 문학의 경향이 미국의 블록버스터 스릴러의 영향과 함께 다소 하드 보일드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 때문에 고전적인 후던잇의 추리 소설이 자극적인 소재에 익숙해진 현대인에게 어필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어 보인다. 물론 개인적으로 애거서 크리스티나 도로시 세이어즈를 무척 좋아하지만 고전 소설은 고전일때 그 매력이 더 하는것 같다. 그러한 이유에서 그 많은 애거서 상 수상작 가운데 한국에서 오직 낸시 피커드의 '스몰 플레인스의 성녀'만이 번역 출간된 것인지도 모른다.
'추리 소설 > 해외 추리 문학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1년 에드거 상 후보작들 (6) | 2011.02.08 |
---|---|
많은 상을 받은 추리소설 (6) | 2010.11.09 |
애거서 상 (0) | 2010.11.09 |
앤서니 상 (앤소니 상) (0) | 2010.11.09 |
매커비티 상(마카비티 상, Macavity Award) (2) | 2010.11.07 |
배리 상(Barry Award) (4) | 2010.11.07 |
댓글을 달아 주세요